잠실역 보건증 발급, 인터넷 발급? 유효기간, 발급 기간 총정리
보건증 발급에 대해서 알아보고 계신가요?
저도 여러 알바를 했던 입장에서 보건증 발급, 발급 날짜까지도 신경썼던 기억이 있네요.
이번 글에서 제가 알아봤던 잠실역 보건증 발급 방법, 인터넷 신청 방법, 유효기간, 발급 소요 기간까지 꼼꼼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고민 중이시라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1. 잠실역 보건증 발급, 왜 필요할까요?
보건증, 정식 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로, 식품위생법 제40조에 따라 식품위생업소 종사자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발급받아야 하는 서류입니다.
알바를 하려고만 하면 필요하다고 하는 골치아픈 녀석이죠.
심지어는 주기적으로 갱신까지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발급 받을 수 있을까요?
2. 잠실역 보건증 발급 방법
잠실역 보건증 발급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인터넷 발급과, 오프라인 발급이죠.
당연히 인터넷 발급이 편하겠죠? 하지만 인터넷 발급이 되는 분이 있고 안되는 분이 있습니다.
인터넷 발급부터 살펴보죠.
(1) 인터넷 발급 방법
우선 최근에 검사를 받으신 기록이 있다면, 위의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바로 뽑으실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르니 우선 조회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오프라인 발급 방법
송파구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여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병의원에서 검사 받으면 최소 5배 가량 비싸니 무조건 송파구 보건소를 추천드립니다!
-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26
- 운영시간: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 필요서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수수료: 3,000원
- 검사 항목:
- 식품위생분야 종사자: 결핵,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 학교급식분야 종사자: 결핵,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 유흥분야 종사자: 매독, HIV, 클라미디아감염증(여성), 임질(남성)
검사 후 결과는 평균 3~5일 이내에 확인할 수 있으며, 직접 방문하여 수령하거나 일부 보건소에서는 우편 발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보건증 유효기간 및 발급 기간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검진일로부터 1년입니다. 다만, 직종에 따라 유효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식품위생업 종사자: 1년
- 학교급식 종사자: 6개월
- 유흥업소 종사자: 3개월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반드시 재검사를 받고 새로운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며, 기간 연장은 불가합니다.
보건증 발급 기간
검사 후 보건증 발급까지는 평균 3~5일이 소요됩니다.
보건소의 업무량이나 검사 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유 있게 일정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일정이 촉박하여 당장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면, 개인 병의원으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병원마다 다르기 때문에 병원에 사전에 문의하셔서 당일 발급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아요!
물론 비용은 5~7배가 됩니다..
4. 마무리
잠실역 인근에서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송파구 보건소를 방문하거나 공공보건포털을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E-보건소에서는 사전 예약도 가능하니 예약을 통해 대기 시간을 줄이고,
필요한 서류와 수수료를 준비하여 원활하게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메디핸드북이었습니다.